삼국시대 대형 철제 농기구로 추정되는 유물이 경북 경주에서 출토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쪽샘지구 41호분(돌무지덧널무덤) 가운데 껴묻거리(부장품)를 묻는 부곽에서 찾은 이 유물은 지금까지 확인된 삼국시대 철제 농기구 중 가장 크다”고 4일 밝혔다. 철제 몸체에 편평한 날 부분을 결합시킨 탈부착식(脫附着式) 구조도 처음 확인됐다. 일본과 중국에는 이런 유물이 발견된 사례가 없다.
유물 크기는 두께 5.0㎝, 길이 22.8㎝, 너비 18.5㎝이며 무게는 9㎏에 이른다. 몸체에 끼운 삽날의 길이는 26.0㎝. 몸체엔 나무 자루를 끼울 수 있도록 가로·세로 각각 8.2㎝의 네모난 구멍이 있다. 측면에서 보면 자루를 고정시킬 쐐기를 박을 수 있는 작은 구멍이 있다. 날 부분이 편평한 것으로 보아 농사지을 때 정지(整地) 작업에 쓰였을 수 있다. 하지만 무게가 엄청난 것으로 봐선 농경의례 등에 활용됐을 수도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국민일보 2012.9.5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진행되는 '제3회 문화소통포럼(CCF) 2012'는 각국의 문화계 거장들이 참석해 문화 교류 방법을 논의하는 문화계의 '다보스포럼'이다.
이번 행사에는 헤르만 파르칭어 독일 베를린 프로이센 문화재단 이사장, 제랄딘 두그 호주 유명 저널리스트, 도미니크 볼통 프랑스 소통과학 연구소 소장, 예카테리나 톨스타야 야스나야 폴라냐 박물관 관장, 캐나다의 이선경 감독, 페르난도 킨테로 멕시코 화가, 나카무라 히로코 일본 피아니스트, 장쥔 중국 곤극 배우, 토머스 렌츠 하버드대학교 박물관 관장, 쑤허완 아부 싱가포르 미술 전문가, 김난도 서울대 교수 등 13개국 14명이 참석한다.
한국이미지커뮤니케이션연구원(이사장 최정화 한국외국어대 교수)이 세계 각국에 한국 문화를 널리 소개하기 위해 지난 2010년 제1회 행사를 개최했다.
- 조선일보 2012.09.04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사진)은 4일 “통섭 인재 양성을 통해 한국의 스티브 잡스를 배출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아트 전문 미술관인 아트센터 나비를 이끌어온 노 관장은 이날 오후 서울 장충동에 통섭인재양성소 ‘타작마당’을 개소하면서 기자들과 만나 “학제간의 벽을 허물고 창조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타작마당’은 분야별 최고의 인재들이 모여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노 관장은 “타작마당에서는 들판 여기저기서 자라던 곡식이 모여 채에 걸러지고 깎이고 알곡이 되어 우리의 양식을 만들어낸다. 우리가 생각하는 예술도 그런 것”이라며 ‘타작마당’을 흩어져 있는 인재들이 모여 다듬어지는 곳으로 설명했다.
철학, 문학, 공학 등 분야나 학력과 상관없이 매년 우수한 인재를 선발해 1인당 연간 5000만원씩 지원하고 ‘타작마당’을 통해 연구와 토론할 수 있는 공간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SK그룹 최태원 회장의 부인인 노 관장은 앞으로 사재를 출연해 ‘타작마당’을 공익법인화할 계획이다.
-경향신문 2012.9.5
일본과 중국에서도 발견된 적 없는 대형 탈부착식 고대 농기구가 경주에서 출토됐다. 이 대형 철제품은 두께 5.0㎝, 길이 22.8㎝, 너비 18.5㎝, 무게 약 9㎏에 이르며 폭이 넓고 편평한 삽날을 서로 결합한 구조로, 지금까지 확인된 삼국시대 철제 농기구 중 가장 큰 규모다. 4일 국립문화재연구소는 규격으로 미루어, 이 기구가 농경의례 등 과시용으로 활용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 헤럴드경제 2012.9.4
한라산 백록담이 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자연경관 가운데 한라산의 백록담, 선작지왓, 방선문(訪仙門) 등 역사·문화적 보존가치가 크다고 판단한 세 곳을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3일 지정 예고했다. 백록담은 산 정상 분화구에 있는 호수로서는 남한에서 가장 높다. 풍화나 침식의 영향을 받지 않아 방패를 엎어 놓은 듯한 순상화산(楯狀火山)의 원지형을 잘 보존한 것으로 평가됐다.
선작지왓(‘돌이 서 있는 밭’의 제주방언)은 한라산 고원 초원지대의 하나로 털진달래와 산철쭉, 눈향나무 등의 군락이 발달했다. 방선문은 한천 중류 한가운데 커다란 기암이 문처럼 서 있는 곳이다. 용암류의 판상절리(암석 표면에 판 모양으로 갈라지는 틈)가 강물 침식작용을 받아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명승 지정은 한 달 뒤 최종 결정된다.
- 국민일보 2012.9.4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