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창덕궁 주합루·연경당, 보물 지정예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재청은 창덕궁 주합루(宙合樓)와 연경당(演慶堂)을 보물로 지정예고한다고 30일 밝혔다. 주합루는 임금의 글과 글씨를 보관하기 위해 정조 즉위년(1776년) 창덕궁 후원에 세운 2층 누각이다. 주합루는 정조 측근 신하들의 정책 연구와 토의의 장으로 활용됐다. 연경당은 효명세자(훗날 익종으로 추존)가 아버지 순조와 순원왕후를 위해 잔치를 베풀려고 순조 28년(1828년) 민간 사대부가를 모방해 건립한 집이다.

-조선일보 2012.5.31

애경과 ‘예술인재 육성 메세나’ 협약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애경과 ‘예술인재 육성 메세나’ 협약

심화진 성신여대 총장 = 29일 성신여대 운정그린캠퍼스 대회의실에서 애경산업(대표 고광현)과 ‘융합예술인재 육성에 관한 메세나’ 협약을 체결했다.

-문화일보 2012.5.30

청소년 문화예술 활동 지원 'LG아트클래스' 접수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메세나협의회는 LG연암문화재단과 함께 문화적으로 소외된 서울 및 경기도권 청소년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2012 LG 아트클래스' 접수를 시작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로 5년째를 맞는 'LG 아트클래스'는 문화·예술교육이 취약한 청소년 문화의 집, 지역 아동센터 등 문화 사각지대에 놓인 청소년에게 예술 체험 활동을 제공하는 문화공헌 메세나 활동이다.

체험활동은 미술 방문교육 9회, 공동 전시회 1회 등 총 10회에 걸쳐 미술 중심으로 이뤄진다.

해당 교육은 전문 미술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자하미술관'과 정신장애인의 예술활동을 돕는 서울형 사회적기업 '한국 아르브뤼'가 맡는다.

LG연암문화재단 심우섭 국장은 "청소년들에게 문화예술에 대한 편견을 해소시키고 즐거운 추억을 만들어 주고 싶었다"며 "인터넷 게임과 TV에 중독되어 있던 청소년들이 바깥 세상과 어우러져 잠재돼 있던 감수성과 표현력을 펼쳐 보일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한국메세나협의회 홈페이지(www.mecenat.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청은 오는 6월 4일까지다.

-파이낸셜뉴스 2012.5.30

[메트로 통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아동문학가 4인 동화 낭독회 열어

서울시 문화관광디자인본부는 31일 오후 7시 서대문구 연희문학창작촌 야외무대에서 낭독극장 ‘어린이와 함께, 문학과 함께’를 연다. 가정의 달을 맞은 어린이 문학 특집으로, 황선미, 김리리, 한윤섭, 송언 등 아동문학가 4인의 동화 낭독이 진행된다. ‘몽실언니’, ‘강아지똥’으로 유명한 권정생 선생의 5주기를 맞아 이철수 판화가의 ‘몽실언니’ 삽화 전시와 공연도 마련된다. 별도 참가신청 없이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문의는 연희문학창작촌(324-4600)이나 서울시창작공간 홈페이지(seoulartspace.or.kr)로 하면 된다.

-세계일보 2012.5.30

진주시, 도시디자인 공모전 개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진주시는 도시경관의 기능과 가치를 질적으로 향상시키고 21세기형 첨단 산업문화도시로 도약하는 매력적인 기업도시 이미지를 창출하기 위해 전국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 작품을 발굴하고자 도시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3개월간의 제작기간을 두고 8월 27일부터 9월 7일까지 공휴일을 제외한 10일간 접수하고, 산업단지, 상징거리, 테마거리(공원) 등 공공공간에 대한 디자인 계획, 가로등, 휴지통, 볼라드, 펜스, 도시안내시스템 등 공공시설물 디자인과 옹벽 및 외벽 등 삭막하게 비어있는 공간을 이용한 공공미술 등 3개의 분야로 나누어 실시된다.
시상내역은 대상 1명(상장 및 시상금 700만원)을 비롯한 금상, 은상, 동상, 입선으로 구분하고 총상금은 2500만원이다.
평가기준은 제출 작품을 통해 실현가능성, 작품성, 창의성, 위치선정 및 환경이해도 등을 심사위원회에서 심사하게 된다.
시 관계자는 “이번 공모전이 진주시의 도시디자인 인식 확산에 크게 기여할 뿐 만 아니라 진주 고유의 정체성과 문화를 반영한 도시 디자인을 통한 미래지향적인 도시로 진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남일보 2012.5.3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